본문 바로가기
파이노드

파이코인 파이노드를 아시나요? 설치부터 운영관리, 백업및복구까지 올인원입니다.

by 생산적소비자 홍쌤 2021. 8. 23.

파이코인에서의 노드와 블록체인의 핵심 기술인 분산저장기술이란

파이노드, 파이네트워크

파이코인 유저라면 한 번쯤 도전해볼만한 파이노드에 대해 소개합니다.

먼저, 노드란 무엇을 말할까요?

 

블록체인기술의 안정화에 기여하게 될 유저라고 생각하시면 쉽습니다. 네트워크에 있어서 연결 포인트 혹은 전송의 종점 혹은 재분배점이라고 정의하기도 하는데요. 결론적으로 블록체인에 참여하고 있는 기기(PC)를 말합니다.

 

분산 원장 네트워크에서의 Node는 분산원장에 포함될 새로운 기록을 검증하고 합의하는 것에 참여합니다. Node는 분산원장을 생성, 유지,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이 때 유저 나의 컴퓨터에 남은 리소스를 사용하게 됩니다.

Node로 참여하는 것을 흔히 채굴이라고 표현하며 이 때, 참여에  대한 보상으로 받는 것이 바로 코인이라고 합니다.

 

그럼 블록이란 것에 대해서도 잠시 말씀드릴게요.

 

컴퓨터에서 DATA의 저장은 block 단위로 저장됩니다.  분산저장기술은 중앙집중식 서버(예:금융권의 이용자 정보 저장) 저장이 아닌 block이 연결된 모든 Node에 분산 되어 저장되는 기술을 말합니다.

 

지금까지 ‘사람1-은행-사람2’의 연결 방식으로 온라인 송금이 이루어졌고 아직도 같은 방식을 사용하고 있는데요. 이럴 경우 은행 서버(중앙집중식 서버)가 해킹 당하면 ‘사람1과 사람2’의 개인정보는 유출되며 금융자산도 위협을 받게 됩니다. 블록체인기술은 이러한 중앙집중식 저장 방식이 아닌 연결되어 있는 모든 Node에 정보를 분산저장하게 하는 기술로, 해커의 표적이 될지언정 해킹이 어려운데요. 그 이유는 내 정보가 어느 block에 저장되어 있는지 찾아내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거래내역에 대한 안전한 저장에 기여하게 될 노드 컴퓨터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셋팅을 해야 합니다. 각종 블로그와 유튜브 영상을 보시면서 따라하시는 것이 가능할 정도로 작년에 비해서는 많은 정보들을 접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주의하실 부분은 수많은 자료들 중에서 선택을 하실 때는 최근자료 위주로 보시되, 한 두개의 정보를 접하실게 아니라 여러 정보를 종합해서 어느 정도 이해를 하신 뒤 설치하시는 것을 권장합니다.

 

이번 포스트에서 소개드릴 설치, 유지관리, 백업 및 복구에 대한 부분은 글 작성자인 제가 실제 경험한 방법을 그대로 공유해 드리는 거구요. 시스템의 환경에 따라 일부 상이할 수 있다는 점 염두하시고 봐 주시길 바래요.

 


파이코인 가입 시 추천인 아이디 hongebk 를 입력하시고, 저와 함께 어닝팀에서 활동해 주세요^^

 

많은 노하우는 아니더라도, 여러분이 꿈꾸는 부의 세상을 누리는데 도움을 드리겠습니다.


파이코인 노드 설치 전 준비하기

파이노드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다운로드해야 하는 파일과 설치 시 입력해 줘야 할 명령어들이 있습니다. 이 자료는

아래 링크에 설치명령어정리.txt 파일을 다운로드 해서 준비하시면 됩니다.

https://pikorea.kr/자료실

 

파이네트워크 파이코인 pikorea

 

pikorea.kr

 

준비하기의 간략 3단계!

1. WSL2 Linux kerner 다운로드

docs.microsoft.com/ko-kr/windows/wsl/wsl2-kernel

 

2. Docker Desktop 다운로드

www.docker.com/products/docker-desktop

 

3. Pi Node App 다운로드

node.minepi.com

 

위 3가지 파일을 미리 다운로드해서 저장해 둡니다.

 


파이코인 노드 설치 시작하기

윈도우 파워쉘을 관리자권한으로 실행합니다.

좌측아래의 윈도우 아이콘을 클릭한 후 스크롤하여 아래로 내려가 보시면 Windows PowerShell 이란 항목이 보입니다. 마우스 우클릭-관리자권한으로 실행하기를 클릭합니다.

 

그리고 

설치명령어정리.txt 파일에 나와 있는 1, 2차 명령어를 순서대로 입력하시고 난 후 wsl_updata_x64.msi 파일을 실행하여 설치합니다. 마지막으로 3차 명령어를 입력해 줍니다. 여기서 wsl_updata_x64.msi 설치 시의 상황을 유심히 보시면 설치 팝업창이 나왔을 때 next 단계를 거치지 않고 finished 상태로 끝나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은 제대로 설치되지 않은 상황임을 꼭 확인하셔야 합니다. 이 때에는 WSL 2 Linux kernel 설치에러발생 시 입력하는 명령어를 수행한 후 컴퓨터 재부팅을 하시고, 다시 파워쉘을 관리자권한으로 실행한 후 3차 명령어를 입력해 주면 됩니다.

 

이러한 과정을 거친 후 파이노드앱을 실행하고 설문조사 작성 및 제출, 그리고 계정과 연동하면 노드관련 설치는 마무리 됩니다.

 

자 그럼! 여기까지의 과정을 영상을 통해서 보실까요?

 


파이코인 노드 설치 영상으로 직접 보기

 

 


파이코인 노드 설치를 마치고 난 후 네트워크 설정해주기

파이노드를 설치하신 후 네트워크 환경에 대해 설정을 해야합니다. 노드컴퓨터의 고정IP설정과 포트포워드 설정을 해 줘야 마무리가 됩니다. 가정에서 모뎀-노드컴퓨터의 구성으로 사용하신다면 이 과정은 생략하셔도 됩니다.

네트워크 설정은 모뎀-공유기-노드컴퓨터의 구성에서 공유기 아랫단에 있는 컴퓨터는 내부사설IP(예: 192.168.0.5)를 사용하기 때문에 외부에서 신호가 들어왔을 때 공유기까지는 접속이 되지만 노드컴퓨터를 찾아갈 수 없습니다. 그래서 포트포워드 설정이라는 것을 해 줘야 하는데요.

잠시, 포트/포워드/포트포워드 에 대해서 알아보고 할게요.

 


포트/포워드/포트포워드 에 대해 감은 잡고 갑시다

아래 이미지는 https://pikorea.kr/자료실 에서 카테고리 파이노드를 선택하시면, '포트개방과 포트포워딩 종합편' 게시글에서 다운로드 해서 보실 수 있습니다.

위 그림에서 보셨듯이, 통신사에서는 이미 포트를 개방해 둔 상태입니다. 안해놓으면 장사를 못해먹겠죠?

그럼 모뎀 아랫단에 있는 공유기에 연결된 컴퓨터는 사용자가 직접 셋팅을 해야 합니다. 위의 그림으로 개념 정리가 되셨다면, 공유기 설정 화면에 진입해서 셋팅을 해 주면 끝입니다. 다음 영상으로 금방 확인 해 보실 수 있습니다.

 


포트포워드 설정하기, 포트포워딩 하세요

파이코인 노드를 설치하신 후 네트워크 환경에 대해 설정으로 포트포워드 설정 단계가 있습니다. 위에 언급했던 것처럼 모뎀-노드컴퓨터의 연결 방식이라면 생략하시구요. 공유기를 사용하시는 경우에는 꼭 해 주셔야 외부와의 통신이 가능합니다. 영상보신 후 금방 따라해보세요.

영상을 못 따라가시는 분들을 위해 ppt로 제작된 매뉴얼을 소개합니다. https://pikorea.kr/자료실 에서 카테고리 파이노드를 선택하시면, '파이노드 고정IP, 포트포워드 설정하기' 게시글에서 다운로드 해서 보실 수 있습니다.

 

포트포워드 설정(예: iptime공유기설정화면)

설치된 파이코인 노드의 유지관리, 컨테이너의 연결상황, 포트 통신 상황보기

파이코인 노드 설치와 네트워크 환경에 대한 설정도 마쳤습니다. 이제 postgreDB에 연결되기 만을 기다리면 됩니다. 연결의 시간은 2021년 1월에 시작되어 빠르게 진행이 됐지만 지금은 한 달 이상의 시간이 소요됩니다. 느긋하게 기다리시면 됩니다. 파이코인 노드는 테스트노드 단계입니다. 실제 운영이 아닌 블록의 생성과 싱크가 제대로 수행이 되는지 확인하는 기간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노드 운영에 대한 보상체계가 아직 공지되지 않은바 그것에 대한 기대감으로 테스트노드에 참여하는 인원이 많이 있긴 합니다만, 노드 운영은 선택 사항이므로 꼭 하셔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블록체인기술에 기여하는 댓가로 보상을 받는 다는 것은 공공연한 사실이기에 저는 추천드립니다.

아래의 영상을 통해 노드 운영상황에 대해 살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노드운영상황 살펴보기

 


또 다른 파이코인 관련 영상은 유튜브 채널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생산적소비자 홍쌤'

https://www.youtube.com/channel/UCiq_EnF8t_cXGCex6sigOkg

 

생산적소비자 홍쌤

sp.pikorea.kr 파이네트워크

www.youtube.com

 


postgreDB에 연결되어 잘 운영중인 파이코인 노드 백업 및 복원하기

1인 1계정 1노드의 원칙을 지키며, 파이코인 노드 컴퓨터의 시스템 통백업을 통해 AS상황이나 SSD의 업그레이드 등에 대처해 보겠습니다. 실제 운영 중에 시도해서 현재에도 잘 운영중인 제2번 노드컴퓨터입니다. 주의하실 부분은 파이코어팀에서 얘기한 클론은 안된다는 점! 이 백업 및 복구 방법은 본인 노드컴퓨터의 백업 이미지를 그대로 다시 복원하는 방법이므로 클론이라고 볼 수 없습니다. 클론이라는 것은 원본과 복사본이 공존해야하니까요.

이렇게 파이코어팀에서 클론에 대해 불가함을 알린 이유는 postgreDB 연결시에 표출비번은 부여받는 것입니다. 본인 계정과 매치가 돼 있을테구요. 그래서 중복되면 안되는 상황이므로 클론에 대해 불가함을 알려준 것이라고 저는 조심스레 예상합니다. 그래서 더더욱 조심스러운 작업이었습니다.

영상을 보시면서 가능하신 분은 노드컴퓨터의 이상상황에 대비하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아크로니스트루이미지를 이용한 시스템 백업 및 복구하기

파이코인 유저 지원 비공식사이트 pikorea

파이코인 파이노드 pikorea

https://pikorea.kr

 

네이버 지식인 등 최초 블로그에서 많이 소개가 되고 있지만 내용은 이곳이나 저곳이나 다를바가 없긴 합니다.

모두 본인의 어닝팀(본인 계정과 연결된 유저)을 많이 모집하기 위해 홍보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사실 저는 2019년 6월부터 시작한 이후 어닝팀원 모집보다는 파이코인 앱, 파이노드와 관련된 많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그래서 파이코리아 사이트도 운영하게 되었는데요. 각종 자료, 질문사항, 파이와 블록체인에 대한 안내, 각종 매뉴얼, 유튜브 영상보기, 파이유저가 운영하는 사업장 소개 등 다양한 내용으로 구성해서 지금까지 활동중입니다.

 

Coming Soon

 

다음 포스트는 요즘 핫한 파이코인의 기대주 중에서 파이노드 운영의 부분적 관리를 다뤄볼까합니다. pdf 매뉴얼을 중심으로 조금 자세하게 소개해 볼까합니다. 파이코인 노드를 운영하시는 분들을 위한 내용으로 찾아뵐게요. 기대해 주세요^^

 

SuperPower LINK

그림일기님의 티스토리

https://picturediary79.tistory.com/

 

Pi Network by Picturediary

230개국 이상 2,300만명 이상이 파이네트워크의 파이오니어가 되었습니다. 전세계 최초 스마트폰 무료채굴 암호화폐 Pi Network! 지금시작하세요.! 초대코드 : Picturediary

picturediary79.tistory.com

야기님의 티스토리

https://yagi75.tistory.com/

 

야기

 

yagi75.tistory.com

애니째즈님의 티스토리

https://m.blog.naver.com/ariba9171

 

파이코인채굴-파이코인가입방법-com+plus컴퓨터 수리 : 네이버 블로그

♥컴퓨터수리 출장수리♥ ♥문의 :02-494-5630♥ ★파이코인 채굴★ ★가입방법소개★ 이메일:anyjazz@naver.com 소유자:변정애

m.blog.naver.com

 

 

댓글